배나무 약치는 시기 총정리 (월동기, 발아기, 개화기, 생장기, 수확기)

반갑습니다. 농사꾼입니다.
배나무를 건강하게 키우고 품질 좋은 열매를 수확하기 위해서는 시기별로 적절한 약제 살포가 필수적입니다. 배나무는 다양한 병충해에 취약하기 때문에 적절한 시기에 약을 치지 않으면 큰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배나무 약치는 시기를 계절별로 정리하고, 주요 병충해와 방제법을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배나무 약치는 시기는 월동기(2~3월), 발아기(4월), 개화기 및 생장기(5~6월), 열매 성장기(7~8월), 수확기(9~10월)로 나뉘며, 각 시기별로 다른 병충해를 방제하기 위한 약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특히 월동 직후 적기 방제로 초기 밀도를 낮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배나무 약치는 시기별 총정리표
2~3월(동절기) | 깍지벌레, 응애, 월동 병원균 | 석회유황합제, 기계유 유제 | 20배 | 3월 이내 살포 완료 |
4월(발아기) | 검은별무늬병, 진딧물, 배좀 | 다코닐 수화제, 스미치온 | 1,500배, 1,000배 | 혼합 살포 |
5~6월(개화기/생장기) | 배꼭지나방, 붉은별무늬병 | 스미치온, 디니코나졸 | 1,000배, 2,000배 | 배꼭지나방 6월 중순 집중 방제 |
7~8월(열매 성장기) | 탄저병, 잿빛곰팡이병 | 프로클로라즈 | 1,000배 | 수확 20일 전까지 사용 제한 |
9~10월(수확기) | 잔재 병충해 | 친환경 약제(님오일) | 제품 지침 따름 | 잔류 농약 최소화 |
월동기(2~3월) 배나무 약치기
월동기는 배나무에 약을 치는 첫 번째 중요한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는 월동 병충해를 방제하는 것이 주요 목적입니다.
월동기 방제 대상 병충해
깍지벌레류 | 수액 흡수, 나무 약화 | 매우 높음 |
응애류 | 잎 변색, 광합성 저해 | 높음 |
주경배나무이(꼬마배나무이) | 감로 분비, 그을음병 유발 | 매우 높음 |
검은별무늬병 원균 | 잎과 과실에 검은 반점 | 높음 |
붉은별무늬병 원균 | 잎에 붉은 반점 | 중간 |
월동기 방제는 2월부터 3월 말까지 실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주경배나무이는 낮 기온이 6℃ 이상인 날이 증가하면서 활동을 시작하므로 적기 방제가 중요합니다
월동기 약제 살포 방법
석회유황합제 사용법:
- 살포 시기: 3월 하순(3월 20일~25일)
- 희석배수: 염도계 보메 5도(약 20배)
- 살포 방법: 나무 전체에 골고루 묻도록 살포
기계유 유제 사용법:
- 살포 시기: 2월부터 최고기온 6℃ 이상 되는 날수가 16일째~21일째 기간
- 희석배수: 물 500리터당 기계유유제 12.5~17리터(30~40배)
- 살포 방법: SS방제기의 압력을 높여 약제가 조피 속까지 스며들도록 살포
주의할 점은 줄기마름병이 많이 발생하거나 찬 기운이 정체돼 언 피해가 잦은 농가는 기계유유제 대신 주경배나무이 적용 약제를 방제 적기에 뿌려야 합니다
발아기(4월) 배나무 약치기
발아기 주요 병충해와 방제법
검은별무늬병 | 새순 발아 시 | 다코닐 수화제 | 매우 높음 |
진딧물 | 4월 중순~하순 | 스미치온 | 높음 |
배좀 | 4월 초~중순 | 스미치온 | 중간 |
과수화상병 | 발아기~개화 전 | 구리 성분 약제 | 예방 효과 |
발아기에는 새순이 나올 때 검은별무늬병, 진딧물, 배좀 방제를 위해 다코닐 수화제(1,500배)와 스미치온(1,000배)을 혼합 살포합니다
특히 과수화상병 예방을 위해서는 개화 전(3월 하순~4월 중순) 방제가 중요합니다. 배나무의 경우 꽃눈이 트기(꽃눈발아) 전에 등록된 약제로 실시해야 합니다
발아기 약제 살포 주의사항
- 다코닐 수화제(클로로탈로닐)는 클로로나이트릴계 보호살균제로, 검은별무늬병, 탄저병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 스미치온(페니트로티온)은 유기인계 살충제로, 진딧물, 깍지벌레 등 해충 살멸에 효과적입니다.
- 구리 성분 약제는 석회유황합제 살포 후 7~10일 후(3월 27일~4월 3일)에 살포해야 합니다
- 과수화상병 방제 약제는 다른 약제와 혼용하거나 바로 이어서 사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개화기 및 생장기(5~6월) 배나무 약치기
개화기 및 생장기 주요 병충해
개화기와 생장기에는 다양한 병충해가 발생하므로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배꼭지나방 | 과실 침입 | 과실 내부 가해 | 6월 중순 집중 방제 |
붉은별무늬병 | 잎에 발생 | 광합성 저해 | 5월 초~중순 |
흰가루병 | 잎과 과실 표면 | 생육 저하 | 5월 중순~6월 |
배나무응애 | 잎 뒷면 서식 | 잎 변색, 낙엽 | 5월 하순~6월 |
총채벌레 | 꽃, 어린잎 가해 | 기형과 발생 | 개화기 |
5~6월에는 배꼭지나방, 붉은별무늬병, 흰가루병 방제를 위해 스미치온(1,000배)과 디니코나졸(2,000배)을 사용합니다
개화기 및 생장기 약제 특성
- 디니코나졸: 트리아졸계 살균제로, DMI(DeMethylation Inhibitor)로 작용하여 병원균의 스테롤 생합성을 저해합니다. 흰가루병, 붉은별무늬병 방제에 효과적이며 침투력이 있어 발병 후에도 사용 가능합니다.
- 스미치온: 앞서 언급한 대로 배꼭지나방, 응애 등 해충 살멸에 효과적입니다.
배꼭지나방은 6월 중순에 집중 방제해야 하며, 총채벌레는 개화기에 방제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열매 성장기(7~8월) 배나무 약치기
열매 성장기에는 과실의 품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시기로, 병충해 방제에 특히 신경써야 합니다.
열매 성장기 주요 병충해
- 탄저병: 과실에 검은 반점이 생기고 점차 확대되어 과실 전체가 썩게 됩니다.
- 잿빛곰팡이병: 과실에 회색 곰팡이가 피고 물러지게 됩니다.
- 배나무응애: 잎에 피해를 주어 광합성을 저해합니다.
7~8월에는 탄저병, 잿빛곰팡이병, 배나무응애 방제를 위해 프로클로라즈(1,000배)를 살포하며, 수확 20일 전까지 약제 사용을 제한해야 합니다1.
열매 성장기 약제 특성
프로클로라즈는 이미다졸계 살균제로, 탄저병, 잿빛곰팡이병 방제에 효과적입니다. 병원균의 스테롤 생합성을 저해하며, 침투력이 있어 발병 후에도 사용 가능합니다
주의할 점은 수확 20일 전부터는 약제 사용을 제한하여 잔류 농약 문제를 방지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수확기(9~10월) 배나무 약치기
수확기에는 잔류 농약 문제를 고려하여 친환경 약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확기 방제 대상 및 약제
9~10월에는 잔재 병충해(잿빛곰팡이병, 총채벌레) 방제를 위해 친환경 약제(님오일)를 사용합니다
님오일은 천연 유래 살충제로, 총채벌레 등 잔재 해충 방제에 효과적이며, 잔류 농약 걱정이 적습니다.
배나무 병충해 방제 FAQ
배나무 약치는 시기를 놓쳤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방제 적기를 놓치면 주경배나무이가 나무로 이동한 뒤 알 낳는 시기도 빨라지므로 개화기와 생육기에 더 철저하게 관리해야 합니다6. 놓친 시기의 병충해에 맞는 약제를 선택하여 즉시 방제하고, 이후 계획된 방제 일정은 더욱 철저히 지켜야 합니다.
과수화상병은 어떻게 예방해야 하나요?
과수화상병 예방을 위해서는 개화 전 1회와 개화기 2회 방제를 반드시 실시해야 합니다. 개화 전 약제방제는 배나무의 경우 꽃눈이 트기 전, 사과는 새 가지가 나오기 전에 등록된 약제로 실시해야 합니다
친환경 배 재배를 위한 약제 방법은 무엇인가요?
친환경 재배를 위해서는 석회유황합제, 보르도액 등 무기농약과 님오일 같은 천연 유래 약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월동 전 거친껍질 제거, 낙엽 매립 및 소각 등 경종적 방제법을 병행하면 약제 사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기상 조건에 따라 약제 살포 시기를 조정해야 하나요?
네, 기상 조건은 병충해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올해와 같이 1~2월 기온이 상승하면 월동 병해충 활동이 빨라져 방제 시기도 앞당겨야 합니다 지역별로도 차이가 있어 남부지역은 중부지역보다 방제 시기가 약 10일 정도 빠릅니다
배나무 약치기 총정리
배나무 약치는 시기는 계절별 병충해 발생 패턴에 따라 구분되며, 적절한 시기에 맞는 약제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월동기(2~3월)에는 석회유황합제와 기계유 유제로 월동 병충해를 방제하고, 발아기(4월)에는 다코닐 수화제와 스미치온으로 초기 병해와 해충을 억제합니다.
개화기 및 생장기(5~6월)에는 스미치온과 디니코나졸로 배꼭지나방, 붉은별무늬병 등을 방제하고, 열매 성장기(7~8월)에는 프로클로라즈로 탄저병, 잿빛곰팡이병을 방제합니다. 수확기(9~10월)에는 친환경 약제를 사용하여 잔류 농약 문제를 방지합니다.
배나무 생육기 병충해 밀도가 높으면 수확기까지 방제 노력이 많이 들기 때문에 월동 직후 적기 방제로 초기 밀도를 낮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방제 적기를 놓치면 병충해 발생이 증가하므로 개화기와 생육기에 더 철저하게 관리해야 합니다.
건강한 배나무 관리를 통해 품질 좋은 배를 수확하시길 바랍니다.
'농업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야 경매 사이트 완벽 가이드: 초보자도 쉽게 시작하는 투자 전략 (2025년 최신판) (0) | 2025.05.07 |
---|---|
임야 경매 완벽 가이드 2025: 초보자도 쉽게 시작하는 7가지 투자 전략 (1) | 2025.05.07 |
복숭아 깍지벌레 발생 시기 및 방제 방법 총정리 (시기, 증상, 약제) (1) | 2025.05.05 |
고추 주요 해충 TOP 5 총정리 (진딧물, 총채벌레, 담배나방) (0) | 2025.05.05 |
트랙터 GPS 자동운전 시스템 BEST 5 총정리 (원리, 장점, 실전후기, 비교) (4) | 2025.04.29 |
댓글